목재가공기계조작원
목재·펄프·종이 생산기계 조작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원목 또는 일차 제재한 재목을 제재·절삭·파쇄하거나 단판 또는 파쇄된 목재를 접착·압착하여 합판을 제조하는 각종 목재 가공장치를 조작한다.
목재가공관련 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자격을 요하지 않는다.통상 고졸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기계 등 관련학과 전공자나 경력자는 취업 시 유리하다.주로 목재가공관련 업체 등에서 근무하며 교대제로 근무한다.
- 직무 관련 역량
- 목재가공기능사(국가기술)
- 일자리현황
- 목재 가공(제재)원 모집
대한수출포장(주)
주5일근무 기간제
시급 10,030원
목재 파쇄기(칩핑기) 관리인원(유)엠케이에이앤더블유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50만원 ~
사무용가구 제조업체 현장직원(재단) 구인트리메탈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50만원 ~
목공부 보조 사원 모집세종산업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090만원 ~
[안산]가구공장 목재가공원모집(주)바로퍼니처
주5일근무 정규직
시급 10,030원
생산직 사원모집화성상사
주5일근무 기타
월급 150만원
생산직사원(주)팀버웨이
주5일근무 기간제
월급 210만원 ~
생산직 - 목재 가공/목재 파쇄(주)와이케이우드텍
주5일근무 정규직
시급 11,000원 ~
합판시트접착보조 합판재단보조 단순종사원 및 합판재...동현
주5일근무 정규직
시급 10,030원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목재가공관련조작원의 고용은 감소할 전망이다.목재 이용은 건강하고 쾌적한 활환경을 조성하여 국민 건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탄소저장 기능을 확대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따라서 정부(산림청)에서는 목재가공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목조주택산업의 활성화, 칩, 톱밥 산업 증진, 목탄과 목축액, 목질계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이 대표적이다.그러나 국내 목재소비량의 약 90%를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뉴질랜드 등에서 수입하고 있어 규모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특히 목재를 대체할 다양한 소재가 개발되고 가구 등 목제품 및 펄프, 제지 등 관련 산업의 침체로 목재의 수요는 증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더욱이 생산라인의 자동화 추세는 증가할 것으로 보여 목재가공 관련 인력수요 전망은 밝지 않다.한편, 내국인의 일자리 기피로 외국인 근로자로 고용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